본문 바로가기
인터뷰

마카롱 대신 약과! 연경당 대표의 진짜 한과 이야기

2021.12.27

‘약케팅’ 해 본 적 있나요? 약케팅은 약과와 티케팅의 합성어로 약과가 인기를 끌며 생긴 신조어입니다. 과거의 약과는 차례상에서만 볼 수 있었던 음식이었지만 요즘은 편의점에서도 심심치 않게 보입니다. 약과와 함께 먹는 디저트 꿀조합도 관심을 끌고 있죠. 이렇듯 지금의 한과는 전통을 계승하며 현대인의 입맛에 맞게 탈바꿈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 변화를 선도하는 연경당의 김연경 대표와 얘기 나눴습니다.

 

다과로 전통과 현대를 잇는 진국인 정연경

연경당 대표의 진짜 약과 한과 이야기

‘연경당’의 정연경 대표

 

안녕하세요, 연경당을 운영하는 정연경입니다. 연경당에서는 전통한과에 부재료를 첨가하거나 현대적인 조리법을 적용해 한국의 다과를 요즘 입맛에 맞게 발전시키는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Q. 브랜드명은 대표님의 이름에서 따온 건가요?

제 이름에서 비롯된 것도 있지만, 창덕궁에 위치한 연경당의 의미를 담고 싶었습니다. 연경당의 뜻이 ‘경사가 널리 퍼지는 곳’이라고 하더라고요. 이 의미처럼 제 다과가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전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서 연경당이라는 이름으로 정하게 됐죠.

 


 

밥보다 빵을 즐기던 중학생

Q. 어떤 계기로 한과를 만들기 시작하셨나요?

제과제빵을 하면서 요리에 발을 들였어요. 어릴 때부터 먹는 걸 정말 좋아했었고, 밥보다는 빵이나 과자와 같은 군것질을 즐겼죠. 그러다가 자연스럽게 ‘나도 이런 과자나 빵을 만들고 싶다’고 생각했습니다.

중학교 때에는 간단하게 홈베이킹을 즐기다가 제빵사가 되고 싶다는 생각으로 조리 고등학교에 진학하게 됐어요. 거기선 한식, 중식, 양식을 포함한 다양한 요리를 공부할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도 제과제빵이 가장 좋더라고요. 점차 제과제빵을 제대로 공부해야겠다고 마음을 굳혔죠.

 

Q. 제과제빵을 공부하다 많이 놀랐다면서요?

빵이나 과자에 얼마나 많은 양의 설탕과 버터가 사용되는지 알게 됐습니다. 제가 만드는 과자와 빵에도 건강하지 않은 재료들이 많이 들어간다는 사실을 깨달은 거죠. ‘내가 만든 과자를 사람들에게 당당하게 권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을 가진 채, 대학교에 진학했습니다.

 


 

당당한 과자, 한과

Q. 빵과 한과는 좀 다른가요?

한과는 밀가루가 첨가되는 비중이 다른 디저트에 비해 훨씬 낮기 때문에 맛과 함께 건강도 챙길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사람에게도 제가 만든 음식이라고 당당히 소개할 수 있었죠.

 

Q. 단순히 ‘더 건강한 디저트’라는 생각만으로
창업을 결정하진 않았을 것 같은데요. 

한과를 만들기 시작하면서부터 주변 사람들에게 한과를 나눠주곤 했습니다. 한과를 먹어본 사람들 모두 한과가 이렇게 맛있는 음식인 줄 처음 알았다고 하더라고요. 그 모습을 보며, 우리나라 사람들 입맛에 맞는 한과를 더 발전시켜 널리 알리고 싶다고 생각했고 창업까지 이어졌습니다.

 

연경당 대표의 진짜 약과 한과 이야기

연경당의 가을 다과상

 

Q. ‘건강함’ 말고 또 다른 매력이 있다면?

한과는 열을 가해 굽거나 찌는 방법보다는 자연스럽게 건조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재료 본연의 형태와 색을 유지한 모습을 가지고 있습니다. 과일의 모습을 그대로 살리면서도 창조적인 디자인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보는 즐거움도 더해져요.

 

연경당 대표의 진짜 약과 한과 이야기

 

Q. 연경당의 한과가 사람들에겐 어떻게 보이면 좋을까요?

제 첫 고객은 예비 신부였어요. 상견례 때 양가 부모님에게 선물하기 위해 다식을 주문했죠. 전통적이면서도 가볍게 먹을 수 있는 꽃 다식을 만들어 보내드렸는데, 너무 만족하시면서 ‘덕분에 상견례 때 분위기가 좋았다’고 말씀해 주셨습니다. 이때 처음으로 ‘내가 만든 음식이 단순히 먹을 것으로서의 역할을 넘어, 더 중요한 역할을 할 수도 있구나’를 느꼈던 것 같아요. 앞으로 연경당의 한과는 먹는 것으로서의 즐거움을 드리는 역할과 함께 한과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는 역할을 했으면 좋겠다는 바람이 있어요.

 


 

친숙하면서도 정성 가득한 연경당

연경당 대표의 진짜 약과 한과 이야기

Q. 지금은 인식이 많이 개선됐다지만
그래도 한과는 명절에만 먹는 음식이라는 생각이 있어요.

대부분은 제사상의 구색을 갖추기 위한 용도로 판매되는 저렴한 제품으로 한과를 접하기 때문에 한과의 진정한 맛을 느끼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요. 반대로 전통적인 맛을 제대로 맛볼 수 있는 한과는 비싼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어 접근하기 어렵죠. 이처럼 한과는 가격이나 이미지상으로 굉장히 양극화되어 있어요. 저희 연경당의 한과가 이 간격을 줄이는 역할을 했으면 좋겠습니다.

 

Q. 앞으로 계획과 목표는?

저는 한과의 매력을 발전시켜 더 많은 분에게 전하고 싶어요. 전통을 그대로 보존하는 것도 가치 있지만, 전통을 가까이하면서 발전적으로 계승해 나가는 것이 우리 것을 더욱 잘 지키는 일이라고 생각하거든요. 너무 그 자체로 보존하며 선을 긋다 보면, 전통은 점점 우리와 멀어지게 될 뿐이죠. 문화는 계승되며 변화해 나가는 것이니까요.

한과를 발전적으로 계승해 더 많은 사람이 연경당의 다과를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싶습니다. 친숙하면서도 정성 가득한 연경당 한과로 한과의 매력을 더 널리 전파하겠습니다.

 

세계인들에게 보여주고픈 한국의 전통, 세계 어디에서도 자랑스럽게 한국의 것임을 자부할 수 있는 최고의 한과를 선보이겠다고 다짐하는 전연경 대표. 연경당에서 시작된 이야기가 세계 곳곳으로 뻗어나가게 될 그날을 기대합니다. 앞으로의 펀딩에서 만날 다양한 전통 리워드도 많은 기대 부탁드립니다! 

 

> 연경당 메이커가 궁금하다면?

👇 메이커 인터뷰 보러가기

 

👇 태그를 클릭하면 같은 키워드의 글을 모아볼 수 있어요.

  •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