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콘텐츠, 이제는 투자와 소비의 중심에 서다.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전 세계 시청 1위를 기록하며 누적 2억 2,080만 시간이 시청됐습니다. OST ‘골든’은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2위에 오르는 성과를 냈죠.
이와 함께 버추얼 아이돌 그룹이나 팬 참여형 기획으로 탄생한 아이돌도 글로벌 시장에서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최근 한 버추얼 아이돌 그룹은 데뷔 앨범 초동 판매량만 100만 장, 유튜브 누적 조회수는 5억 회를 돌파했어요.
이처럼 K-콘텐츠는 전 세계 팬들의 일상 속에서 문화와 소비를 연결하는 거대한 흐름이 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한국 스타트업 투자 데이터베이스 플랫폼 집계에 따르면, 2025년 현재까지 국내외 투자사들이 K-pop 엔터테인먼트 스타트업에 약 677억 원을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2020년 같은 기간 208억 원에서 225% 이상 증가한 수치입니다.

출처 : 국립중앙박물관
또한 영화 속에 등장하는 한국 전통문화가 전 세계에서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는데요. 한국의 문화 유산을 즐기는 외국인 방문객 수도 부쩍 늘었습니다. 올 여름 박물관과 사찰을 찾은 방문객은 전년 대비 크게 늘었고, 국립중앙박물관 방문자는 122.7% 증가했습니다.
동시에 뮤지엄+굿즈(뮷즈’라 불리는 문화상품 매출도 올해 상반기만 115억 원을 기록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갔습니다. 온라인스토어 일 방문자 수만 26만 명에 달하며, 까치, 호랑이 같은 전통 소재 굿즈는 입고 즉시 품절되는 상황이 벌어졌습니다.
🐯 호랑이와 까치를 직접 만들다
이런 전통 문화 열풍은 와디즈에서도 새로운 펀딩 프로젝트로 이어지고 있어요.
메이커들이 전통적인 소재와 캐릭터를 현대적으로 풀어내면서, 서포터들의 눈길을 사로잡고 있습니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호작도 DIY 페이퍼토이 키트입니다.
호작도란 ?
호작도는 권력과 위엄을 상징하는 호랑이와 행운을 상징하는 까치를 그린 민화로, 새해에 집안의 잡귀를 막고 복을 기원하는 의미로 문에 붙이던 조선시대 대표 민화입니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를 통해 화제가 된 민화 속 호랑이는 집을 지키는 수호자, 까치는 기쁨과 행운을 전하는 길조로 잘 알려져 있죠.
두 상징이 함께 담긴 호작도는 예로부터 나쁜 기운을 물리치고 좋은 소식을 불러오는 그림으로 사랑 받아 왔습니다.
페이퍼토이 키트를 통해 오리고 풀칠 해야하는 복잡한 과정 없이 호랑이를 만날 수 있습니다.

오릴 필요 없이 종이를 뜯어 끼우기만 하면 되는 쉽고 간단한 조립 방식(출처 : 와디즈 펀딩 상세 페이지)
이 전통적인 의미를 디아이와이페이퍼(DIY Paper)가 현대적으로 재해석했어요. 오리고 풀칠할 필요 없이 종이를 뜯어 끼우기만 하면 완성되는 간단한 방식이지만, 입체적인 곡선과 디테일까지 살려 호랑이와 까치를 생생하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펀딩 오픈 전부터 반응은 뜨거웠습니다. 무려 725명의 서포터가 오픈 알림을 신청하며 정식 공개 전에 이미 큰 화제를 모았죠. 단순한 장난감을 넘어, 한국 민화의 상징을 직접 만들고 생활 속에서 즐길 수 있다는 점이 서포터들에게 매력으로 다가온 겁니다.
🃏 카드를 넘길 때마다 만나는 한국 문화유산
전통을 새롭게 풀어내는 시도는 계속 이어지고 있는데요. 그 중 하나는 단순한 놀이를 넘어, 게임을 하며 자연스럽게 한국의 문화 유산을 더욱 가까이 느낄 수 있도록 해주는 독특한 아이디어로 주목 받았습니다.
10년 넘게 전통문화 기반 상품을 전문적으로 만들어온 디자인가안채의 ‘K-포커카드 시리즈’인데요. 한국의 문화유산을 카드 게임에 담아냈습니다.

K-포커카드 속 전통 민화(출처 : 와디즈 펀딩 상세 페이지)
총 5가지 시리즈로 구성된 포커카드에는 민화 속 길상화, 국보 제1호 숭례문, 신윤복의 쌍검대무 등 우리가 박물관에서만 볼 수 있었던 문화유산들이 한 장 한 장 담겨 있습니다. 카드를 넘기며 단순히 게임을 즐기는 것을 넘어, 우리 역사의 아름다움과 지혜를 함께 경험할 수 있는 것이죠.
펀딩에서 무려 2,718% 달성, 오픈 당일에는 단품 소장 카드가 전량 완판될 정도로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습니다. 서포터들의 요청에 따라 추가 수량이 열릴 정도로 꾸준한 인기를 이어가고 있어요.

카드에 동봉된 문화 유산 영문 설명서(출처 : 와디즈 펀딩 상세 페이지)
특히 모든 카드에는 한영 설명서가 포함되어 있어 내외국인 누구나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서, 한국 문화유산을 알리는 글로벌 아이템으로 주목 받고 있습니다.
🌟 왜 주목받을까?
K-콘텐츠 팬덤은 이제 단순히 K-pop을 듣거나 영화를 감상하는 데 그치지 않고 더 다양한 방식으로 즐기고 싶어합니다.
이 과정에서 펀딩 프로젝트는 중요한 매개체가 되고 있는데요. 메이커들은 전통 문화를 현대적인 상품으로 재해석해 서포터에게 선보이고, 서포터들은 이를 통해 새로운 방식으로 K-컬처를 소비합니다.
결국 K-콘텐츠의 확장성과 K-헤리티지의 가치가 서로 맞물리며 성장하는 선순환이 만들어지고 있는 것이죠.
👣 와디즈, 창작의 가치를 세계와 연결하다
K-콘텐츠가 전 세계에서 주목받는 지금, 와디즈는 펀딩 플랫폼을 넘어 창작과 팬덤을 잇는 무대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창작자들을 위한 대규모 아트·컬처 페어 ‘와디즈 무(無)지엄 2025(10/23~11/5)
다가오는 10월 23일부터 2주간 열리는 대규모 아트·컬처 페어 ‘무(無)지엄 2025′가 그 무대의 시작입니다. ‘차별·경계·문턱 없는 전시’를 콘셉트로, 아트와 출판, 전자책 등 다양한 분야의 신인부터 거장까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열린 장을 준비했어요.
와디즈는 앞으로도 한국의 메이커들의 작품이 국내를 넘어 글로벌 팬들에게 다가갈 수 있도록, 펀딩과 마케팅, 그리고 글로벌 연결까지 전폭적으로 지원해 나가겠습니다.
👉 이제, 전 세계가 주목하는 K-콘텐츠의 흐름 속에서 여러분이 사랑하는 창작물을 가장 가까운 자리에서 응원해 보세요.
“나만의 K-컬처, 와디즈 펀딩으로 만나보세요.”